Category: Christian Perspectives in the 21st Century / 21세기 크리스천의 관점

코로나 팬데믹: 상담 – 코로나시대 한인가정의 자녀양육에 관한 몇가지 제언

Gyounghee Lee (상담 관점)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외부 활동이 제한되는 비대면 사회속에서 살아가게 되면서, 한 집에 사는 가족들은 제한된 한 공간안에서 더 많은 시간을 함께 지내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즉 코로나 사태로 인해 부모들은 실업상태이거나 혹은 재택근무를 하는 상황이 되기도 하고, 많은 학령기 자녀들은 학교에 등교하지 못하고 집에서 화상수업을 하며, 많은 대학생 자녀들까지도 집으로 돌아와 함께 가족과 함께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가족간에는 제한된 한 공간안에서 더 많은 시간을 함께 지내야 하는 상황이 됨으로, 더 빈번한 접촉으로 말미암은 잦은 가족간의 갈등으로 인한 상담요청이 늘어나고 있음을 많은 상담가들이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간 필자의 한인가정 가족상담 경험에 근거하여, 현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특히 부모 자녀간의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한인 기독교 가정 부모들의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될 만한 몇가지 제언을 아주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기독교 가정의 부모 사명
기독교 가정의 부모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거한 성경적 가치관을 자녀에게 심어줘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의 자녀도 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님께로부터 자녀양육을 의탁받은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옳바른 사랑과 훈계를 행하면서, 자녀들을 하나님의 진리로 무장된 하나님의 일꾼으로 훈련하여 준비시켜 내는 책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녀들은 부모의 말이 아니라 부모의 삶을 보고 그대로 배운다고 함으로, 올바른 신앙생활의 본을 자녀에게 보여야 하는 부모의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한인 2세들을 상담하면서 자녀들이 부모의 은혜롭지 못한 신앙생활로 인하여 자녀들이 신앙을 떠난 안타까운 사례들을 접할 때마다, 올바른 신앙생활의 본을 자녀에게 보여야 하는 부모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실히 배우게 됩니다 현재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가족들이 함께 모일수 있는 시간이 많아진 관계로, 지금까지 가정 예배를 못 드렸던 가정들도 가정예배를 지속적으로 드리는 노력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이 가정예배를 통해서 자녀들에게 형식적인 종교생활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신실하신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은혜를 알고 경험하게 해주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다면, 자녀들의 신앙생활에 많은 유익을 줄 것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2. 부모의 피해야 할 자녀양육 방식
한인 2세 상담을 하다보면,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모는 자녀를 위한다고, 자녀를 사랑하는 의도로 한 행동들인데, 자녀들에게 의도 하지 않는 상처와 피해를 주는 일이 많이 일어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이렇게 자녀들에게 의도 하지 않는 상처와 피해를 주는 일을 줄이기 위해서 부모가 피해야 할 몇가지 자녀양육 방식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첫번째는 부모가 자녀들에게 의존적인 자녀를 만드는 과잉보호를 하는 것입니다. 자녀들의 독립성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자녀 스스로가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도록 해야 합니다. 부모들의 과잉보호로 인해서 의존적인 자녀를 만드는 문제는 한인가정뿐만 아니라, 미국 주류사회의 부모들의 자녀양육 방식에 있어서도 공통적인 현상입니다 다음의 이야기는 시카고 지역 Willow Creek Church에서 부모양육 세미나를 한 강사가 전해준 재미있는 예화입니다.

어떤 할아버지가 딸의 아이 3명을 baby-sitting해 주는데, 딸이 자신의 아이들이 잘 있는지 그저 불안해하며 전화로 계속 끊임없이 물어보았다고 합니다. 딸의 지나친 행동을 계속 지켜본 후, 그 할아버지는 식탁에 앉아서 시리얼을 먹고 있는 세 아이들 머리에 자전거 탈 때 쓰는 헬맷을 씌워서, 아이들이 이렇게 안전하게 잘 있다고, 사진을 찍어서 딸에게 텍스트로 보냈다고 합니다.

두번째는 부모가 자녀에게 조건적인 사랑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만약 너가 어떤 조건을 충족시키면 우리는 너를 사랑해 줄거야”라는 식의 조건부 사랑입니다. 많은 한인 청소년들이 상담와서 이런 이야기들을 하곤 합니다: “우리 부모는 내가 성적을 잘 받아오면 나를 사랑하는 것 같아요.” “우리 집에서는 공부를 못하면 사람대접 못받고 밥만 축내는 쓸모없는 존재로 취급받아요.” 다음은 요즘 미국 청소년들의 입에 회자하는 Asian가정의 성적표 풍자해석 예입니다:

A: Average (원래 의미: Excellent); B: Below Average (Good); C: Can’t eat dinner (Satisfactory); D: Don’t come home (Passing); F: Find a new family (Not Passing).

세번째는 부모가 자녀들을 계속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자녀들의 형제들과 비교하고, 이웃집 아이와 비교하고, 친척집 아이와 비교하면서 자녀의 부족한 점들을 지적할때 자녀는 큰 상처를 받게 됩니다. 상담을 하다보면, 특히 자신의 다른 형제들이 공부도 잘하고, 더 뛰어난 능력들이 있을 때 그 보다 못한 자녀들은, 부모의 계속된 비교로 인해서 많은 위축감을 느끼면서 낮은 자존감과 우울감까지 경험하게 됨을 보곤 합니다.

네번째로는 부모의 인생과 자녀의 인생은 구별된 독립된 인생임을 인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의지와 욕심대로 자녀를 소유, 지배, 조종하려는 것입니다. 부모 자신의 못다 이룬 꿈을 자녀들에게 대신 이루어보려는 욕심으로, 자녀들에게 진로나 배우자 선택 등을 강조할 경우에 수많은 불행한 결과가 초래되는 것을 상담 중에 보곤 합니다. 참된 사랑이란 대상의 인격와 자유의지를 존중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한인 2세들을 상담하다 보면 많은 한인가정의 부모들이 어른이라는 이유로 많은 경우에 자녀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부모들의 의견을 강요하며 고집하면서 자녀들에게 많은 상처를 주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한인 청년이 대학에서 만났던 백인 여학생이랑 오래 사귄 후 결혼을 약속하고 결혼식 날짜를 잡았는데도 불구하고, 한인부모님이 결혼식 직전날까지도 한국사람이 아니라는 이유로 끝까지 반대하는 모습을 보고 부모님과 약혼녀 사이에서 괴로워하다가 결국 결혼식 전날 밤에 자살한 가슴 아픈 과거의 실례도 있습니다.

마지막 다섯번째로, 부모가 완벽주의 태도를 자녀에게 보이는 것입니다. 부모가 완벽주의 기준으로 자녀를 대할때 자녀들의 스스로 잘 해보고자 하는 의욕과 동기를 낮추게 만들며, 매우 낮은 자존감을 가지게 만듭니다. 상담을 하다 보면 특히 부모가 교육수준이나,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것을 성취한 가정들에서, 부모가 완벽주의 태도를 자녀에게 보일 경우, 그 자녀들은 부모의 높은 기대치로 인해서 항상 잘해야 한다는 숨막히는 압박감을 느끼고 있는 경우를 보곤 합니다. 부모는 자녀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드리고, 눈높이를 맞추어 주며 격려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3. 효과적인 대화법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모의 잘못된 태도로 인해서 상처와 피해를 입은 자녀들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대화기술이 매우 중요한데, 대화기술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듣는 기술이고, 다른 한가지는 말하는 기술입니다.

먼저, 듣는 기술의 핵심은 경청하는 태도인데, 즉 ‘지금 말하는 자녀의 심정이 어떠한가’. 또는 ‘자녀가 어떤 마음으로 이런 이야기를 말하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는 태도입니다. 즉, 말하는 자녀의 감정을 공감해주려고 애쓰는 태도입니다. 자녀와 대화할 때, 우리는 우리가 하던 일을 멈추고,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고, 그 아이의 이야기에 집중한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그 자녀의 감정을 읽어주고 공감해주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한인가정의 청소년들을 상담하다보면, 한인가정의 부모들은 자녀의 이야기를 듣는 능력은 부족하고 일방적인 설교에 능한 경향이 있어서, 많은 자녀들이 부모와의 대화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토로합니다.

말하는 기술에 관해서는 부모의 제대로 표현된 사랑의 표현이 매우 중요한데, 한인가정에서 많이 결여되는 부분이 사랑의 표현인 것을, 상담을 하면서 많이 느낍니다. 즉 부모 자녀간의 갈등을 줄이고 관계를 개선시키려면,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사랑을 표현해야 합니다. 그 표현들을 통해서 자녀들이 ‘내 부모가 나를 사랑하고 배려하고 있구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녀들이 미루어 짐작하여 부모의 속마음을 알아주기를 바라지 않아야 합니다. 어떤 2세 청년들은 상담 받으러 와서 “나는 오늘날까지 우리 부모가 나에게 ‘사랑한다’라는 말을 한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라고 말합니다. 한인부모가 기억해야 할 내용은, 우리 한인가정의 자녀들은 미국 학교와 미국사회의 표현하는 문화속에서 자라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인부모님들이 표현하지 않고, 그 속마음을 자녀들이 알아주기를 기대하는 것은 많은 경우에 가능한 일이 아닌 것입니다.

비록 자녀의 현재의 모습은 판단과 행동이 미숙하고 부족할지라도, 장래 자녀가 성숙했을 때의 모습에 소망을 두고 계속 기도하면서 낙심하지 않고 기다려 줄 수 있는 부모의 사랑이 중요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라도, 자녀들이 실수, 실패했을 경우라도, 부모는 소망과 믿음의 언어로 자녀들을 격려해주어야 합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지금처럼 자녀와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하는 현 상황에서 자녀에게 감사와 사랑의 표현을 더욱 풍성히 실천하기 위해서, 하루에 최소한 3번에 걸쳐서 자녀를 살리는 생명의 언어를 자녀들에게 해주기를 권해 드립니다. 생명의 언어들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입니다.

“I love you no matter what.” “I’m so proud of you.” “You are a great person.” “You are awesome.” “I trust you.” “I believe you.” “You can do it.” “You’ll make it.” “You look great.” “You’re such a nice person.” “I’m so happy because you’re my child.” “I am happy to be your mom (or dad)” “God will be with you.” “God will love you no matter what.” “God will love you forever.” “God will protect you.” “God will be your shield.” “God will be your fortress.” “God will take care of you forever.” “God has a plan for you.”

아울러, 말로 표현하는 것 외에도 자녀들을 안아주거나, 자녀의 등이나 어깨를 두드려 주면서 격려해 주는 행동 등으로도 부모의 사랑과 격려의 마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에게 편지나 카드쓰기, 혹은 텍스트 메세지 남기기 등을 통해서도 자녀들을 향한 부모의 사랑을 전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자녀에 대한 조건없는 사랑의 표현과 축복의 언어를 글로서 써줄 수도 있고, 만약에 자녀에게 상처를 심각하게 입혔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자녀에게 용서를 구하는 내용도 적을 수 있을 것입니다. 용서를 구하는 내용일 경우에는 변명보다는 부모의 부족함과 미성숙으로 일어난 과오였음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고, 만약 자녀가 아직 용서할 준비가 안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도하면서 더 많은 시간을 자녀에게 주고 기다려 주어야 할 것입니다.

결론 부분으로, 어린시절 부모와 함께 했던 행복한 시간에 관한 추억들은, 자녀들이 훗날 인생의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데 큰 힘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자녀들과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하는 현 상황에서, 안전 수칙이 지켜질 수 있는 한도내에서 자녀들과 함께 가벼운 운동도 함께 하고 사람이 드문 한적한 공원이나 집 주위를 함께 산책도 하면서, 즐겁고 행복한 추억과 경험을 만들어갈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저자에 대해:

이경희교수 (M.Div., M.S.W., L.C.S.W.)는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도미한후 미국 위스칸신주 메디슨에 소재한 위스칸신주립대에서 Social Work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Central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목회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센트럴신학대학원 한국부에서 상담 관련 과목들을 가르키면서 시카고분교 디렉터로 섬기고 있다. 아울러 일리노이 주정부 공인 상담사 (Licensed Clinical Social Worker)로 일하고 있다.

편집인 주:
이 글은 블로그 [21세기 크리스천의 관점]에서 연재기획하는 “코로나 팬데믹”의 네번 째 글이다. 센트럴신학대학원의 한국부 교수 방승호, 홍승민, 이연승, 김효준, 신광섭, 정신찬, 김경판 등 여러 필자들이 이 기획글에 참여할 것이다. 투고에 관심있는 독자들의 코멘트나 견해를 환영하며, spark@cbts.edu로 보내 참여할 수 있다.